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이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51개

2/6 페이지 열람 중


민생지수 | INDEX 게시판 내 결과

  • 2021년 2분기 민생지수 새창

    실질세금 등 큰 폭 증가로 2021년 2분기 민생지수 하락지수는 89.50로 전 분기 92.49대비 3.00p 하락실질소득, 임금근로자 대비 상용근로자 비중 줄고실질전세가격, 실질교육비 지출 등 늘어 지수하락 부추겨1. 2021년 2/4분기의 민생지수는 89.50(2003년 1분기=100.0)으로 전분기 92.49에 비해 3.00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 정도를 단기적으로 가늠하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후 추세적으로 하락세를 보고 있다. 그러나 지난 2…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3-02-22 12:01:10
  • 2021년 1분기 민생지수 새창

    전셋값 폭등과 식료품 가격 상승에 민생지수 급락2021.1분기 민생지수는 83.61로 전 분기 91.11대비 7.49p 하락1. 2021년 1분기의 민생지수는 83.61(기준치 2003년1분기=100.0)로 전분기 91.11에 비해 7.49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 정도를 단기적으로 가늠하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후 하락세를 보고 있다. 2015년 1분기 후 연속 8분기 동안 하락세를 보다 2017년 1분기 반등하였으나,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3-02-22 11:52:44
  • 2020년 4분기 민생지수 새창

    세금과 실질전세가격 상승 2020년 4분기 민생지수 하락 “주도”민생지수는 91.11로 전 분기 91.71대비 0.60p 하락지수 상승에 긍정적 요소도 있었지만 부정적 요인 더 크게 작용1. 2020년 4/4분기의 민생지수는 91.11(기준치:2003년 1분기=100.0)로 전 분기 91.71에 비해 0.60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 정도를 단기적으로 가늠하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후 장기적으로는 하락국면을 보고 있다. 그러나 2018년 4분기 88…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3-02-22 11:45:31
  • 2020년 3분기 민생지수 새창

    주가상승에 힘입어 2020년 3분기 민생지수 오름세 지속지수는 91,71로 전 분기의 91.05대비 0.66p 상승주택가격 상승과 교육비 하락 등도 지수 상승에 한 몫​1. 2020년 3/4분기의 민생지수는 91.71(2003.1분기=100.0)로 전 분기 91.05에 비해 0.66p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기적인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 정도를 가늠해 보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후 하락과 상승을 반복해왔으나 추세적으로는 하락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최근 들어 지난 20…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3-02-22 11:39:20
  • 민생지수 지출비용 급증으로 4분기째 하락세 지속 새창

    2021.4/4분기 지수 84.44로 전 분기 87.43대비 2.99p 하락세금·교육비·주거비·식료품비 등 크게 늘어 부정적 요소 대부분 상승1. 2021년 4/4분기의 민생지수는 84.44(기준치 2003.1=100.0)로 전분기의 87.43에 비해 2.99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로써 지난 2021년 1분기 후 네 분기 째 하락세를 어가고 있다.국민들의 체감 살림살 정도를 단기적으로 가늠하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53을 기록한 후 추세적인 하락세를 보고 있다. 2015년 1분기…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2-04-11 17:10:00
  • 교육비·세금·식료품비 등의 상승으로 2021.3분기 민생지수 하락 새창

    3분기 지수 86.65로 전분기 89.55보다 2.90p 하락  1. 2021년 3/4분기의 민생지수는 86.65(기준치 2003.1분기=100.0)로 전 분기 89.55에 비해 2.90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 정도를 단기적으로 가늠하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후 미세한 등락은 있었지만 지속적인 하락추세를 보고 있다. 근래 들어서는 2018년 4분기 88.43을 최저점으로 기록한 후 2019년 1분기 가구 소득의 전반적인 상승으로 인해 민생지수는 상승추…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2-01-23 17:00:00
  • 실질세금 등 큰 폭 증가로 2021년 2분기 민생지수 하락 새창

    지수는 89.50로 전 분기 92.49대비 3.00p 하락실질소득, 임금근로자 대비 상용근로자 비중 줄고실질전세가격, 실질교육비 지출 등 늘어 지수하락 부추겨  1. 2021년 2/4분기의 민생지수는 89.50(2003년 1분기=100.0)으로 전분기 92.49에 비해 3.00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 정도를 단기적으로 가늠하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후 추세적으로 하락세를 보고 있다. 그러나 지난 2018년 4분기 88.43으로 최저점을 기록한 후 2…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1-10-09 17:00:00
  • 전셋값 폭등과 식료품 가격 상승에 2021.1분기​ 민생지수 급락 새창

      국가미래연구원은 지난 2013년부터 매분기별로 △민생지수 △국민행복지수 △국민안전지수를 작성해 발표하고 있는데 번 지수는 2021년 1/4분기지수다. ​ 지수는 83.61로 전 분기 91.11대비 7.49p 하락  1. 2021년 1분기의 민생지수는 83.61(기준치 2003년1분기=100.0)로 전분기 91.11에 비해 7.49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 정도를 단기적으로 가늠하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후 하락세를 보고 있다. 2015년 1분기 후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1-07-17 17:10:00
  • 세금과 실질전세가격 상승 2020년 4분기 민생지수 하락 “주도” 새창

    민생지수는 91.11로 전 분기 91.71대비 0.60p 하락지수 상승에 긍정적 요소도 있었지만 부정적 요인 더 크게 작용  1. 2020년 4/4분기의 민생지수는 91.11(기준치:2003년 1분기=100.0)로 전 분기 91.71에 비해 0.60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 정도를 단기적으로 가늠하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후 장기적으로는 하락국면을 보고 있다. 그러나 2018년 4분기 88.43으로 최저점을 기록한 후 2019년 1분기 가구 소득의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1-03-21 17:10:00
  • 주가상승 등에 힘입어 2020년 3분기 민생지수 오름세 지속 새창

    지수는 91.71로 전 분기의 91.05대비 0.66p 상승주택가격 상승과 교육비 하락 등도 지수 상승에 한 몫1. 2020년 3/4분기의 민생지수는 91.71(2003.1분기=100.0)로 전 분기 91.05에 비해 0.66p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기적인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 정도를 가늠해 보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후 하락과 상승을 반복해왔으나 추세적으로는 하락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최근 들어 지난 2018년 4분기 88.43으로 최저점으로 8분기 째 상승추…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0-12-12 17: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