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박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420개

15/42 페이지 열람 중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2020 하반기 고용전망’…국미연 보고서 발표 새창

    2020 하반기 취업자 수, 최대 월평균 31만 3천명 감소 전망연간 월평균 취업자 수는 최대 18만 7천명 감소 추정제조업 -7.3만 명, 농림어업 +7.1만 명, 도소매 -14.6만 명숙 및 음식점업 –18.2만 명, 교육서비스업 -9.3만 명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약 +19.1만 명1. 2020 하반기 취업자 수는 최대 월평균 31만 3천명, 연간 월평균 취업자 수는 최대 18만 7천명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현재의 추정은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주 52시간 근로시간제, 코로나19 방역활동 등은 통계적으로 반영하기 어…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0-08-01 17:10:00
  • 제조업 붕괴 위기- 최근 경제동향 <2020.7.16. 분석> 새창

    <종합 평가>1. 지난 6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35.3만 명 감소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은 54.2만 명 및 일시휴직자 36만 명이 각각 증가했다. 6월 고용률(60.4%)은 전년 동월(61.6%)대비 1.2%p 하락했다.6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35.3만 명(-1.3%) 감소했고, 특히 30~40대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대비 각각 19.6만 명, 18.0만 명 감소하여 고용 악화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60대 이상 취업자 전년 동월대비 33.8만 명 증가했고, 전월대비로도 10만 명이 늘어났다.2.…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0-07-16 10:43:10
  • 동반성장에 대한 오해와 비판 새창

    동반성장이 反자본주의적이라는 이념적 공격은 곤란- 한국경제를 보는 시각이 다르다면 동반성장이 우리경제에 대한 적절한 처방이 아니라고 얼마든지 주장할 수 있다. 그러한 반론을 통해 동반성장의 내용을 보다 현실에 적합하게 다듬을 기회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동반성장이 반(反)자본주의적이라고 비난하는 것도 자기 스스로 자본주의가 무엇인지 잘 모른다는 사실을 고백하는 것밖에 안 된다.동반성장 반대론에 대한 해부(解剖)- 동반성장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같이 가자’는 말 속에, 앞서 가고 있는 사람들을 뒤로 끌어내리려는 불순한 의도가 숨…

    정운찬(jungchan) 2020-07-04 17:00:00
  • ‘χ+AI’ 세상 실현을 위한 ETRI 인공지능(AI) 실행전략 새창

    국가미래연구원 산업경쟁력 포럼 주제발표국가미래연구원 산업경쟁력포럼은 지난 6월 18일 대한상의 중회의실에서 ‘AI 플랫폼 비즈니스의 비전과 발전방향’을 주제로 제48회 산업경쟁력포럼 세미나를 주제발표와 토론을 벌였다.이날 세미나는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주제발표는 ▲ 상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부원장이 맡았으며 ▲ 김진형 중앙대학교 석좌교수의 사회로 ▲ 최홍섭 MINDs LAB 대표 ▲ 김지현 SK 써니 부사장 ▲ 재천 인하대학교 교수 ▲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 등이 토론에 참여했다. 이날 주제발표 내…

    박상규 ETRI부원장(admin) 2020-06-27 17:11:00
  • 코로나(COVID19) 위기의 노동시장 파장 (Stealth Virus (COVID19) Attack on the Labor Market) 새창

    이 논문은 지난 6월 19일 성균관대학교 경제대학 경제학과 세미나에서 발표된 자료로 연구자 본인의 동의를 얻어 소개하는 것입니다. <편집자>​ <요약>사스, 메르스 등 코로나계열의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COVID19의 무증상 감염(Stealth기능), 변종이 쉬운 외줄가닥 RNA구조, 낮은 치명률, 높은 전파력 특성으로 인하여 경제와 노동시장에 미치는 피해가 막대함을 바이러스-경제 관련 데이터들을 비교분석하여 보았다.또한 COVID19의 치료약과 백신개발이 더디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이윤창출 동기구조를 …

    조준모(junmo123) 2020-06-24 17:05:00
  • 60대가 결정하는 취업자와 일시휴직자 수-최근 경제동향 <2020.6.18. 분석> 새창

    1. 2020년 5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39만2천명 감소하였으며, 비경제활동 55.5만 명 및 일시휴직자 68.5만 명이 증가했다. 5월 고용률(60.2%)은 전년 동월(61.5%)대비 1.3%p 하락, 5월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39.2만 명(-1.4%) 감소했다.연령별로 보면 30대, 40대 취업자 전년 동월대비 각각 18.3만 명, 18.6만 명 각각 감소하여 고용 악화가 지속됐다. 그러나 60대 이상 취업자 전년 동월대비 30.2만 명 증가, 전월대비 18.2만 명이 증가 했다.2. 업종별로 보면 전년동월대비 제…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0-06-19 13:00:00
  • 패러다임 전환기의 재정정책 방향과 과제 새창

    이 논문은 한국경제학회, 한국국제경제학회, 한국재정학회와 공동으로 지난 6월 3일 주최한 '코로나 이후 한국경제 이슈와 전망' 세미나에서 발표된 것을 필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하는 것입니다. <편집자>​ □ 주요 내용○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우리나라 재정지원의 규모와 방향 적정한가?- 경제규모나 재정건전성에 비해 과도한 수준?- 2차 추경(전국민 긴급재난지원금) 평가와 3차 추경(New Deal) 전망○ 코로나 경제 위기 이후 재정정책에 나타날 중요한 변화와 도전과제들? □ (재정투입과 재정여건 국제비교) 3…

    김우철 서울시립대학교 교수(admin) 2020-06-13 17:00:00
  • “포스트 코로나 경제전망과 과제” 새창

    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GFIN)는 지난 5월 26일 63빌딩에서 ‘포스 코로나 경제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한 제18차 공개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실장이 ‘실물경제 전망’을 발표했고,▲​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팀장은 ‘금융시장 환경 및 이슈점검’을 제시했다.다음은 이날 주제발표 내용을 간추린 것이다.​ ◈ Post Corona 실물경제전망▲ 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실장경기회복 속도가 느리고, 변동성이 클 전망, 기관 간 큰 견해차기업은 세계화 퇴조로 공급망 개편, 가계 소비 줄고 소…

    GFIN세미나(admin) 2020-05-30 17:05:00
  • 팬데믹 효과의 지속 - 최근 경제동향<2020.5.14. 분석> 새창

    4월 취업자 수 전년동월비 47만6천명 감소, 고용률 59.4%로 하락수출부진 이어져 무역수지 9.5억 달러 적자 기록산업생산은 3월에 전월대비 3.5% 감소소매판매는 전년 동월대비 8.0% 감소1. 2020년 4월 취업자 수 전년 동월대비 47만 6천명 감소하였으며, 특히 비경제활동가 83.1만 명 늘고, 일시휴직자 수가 113만 명이 늘어나는 고용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4월 고용률(59.4%)은 전년 동월(60.8%)대비 1.4%p 하락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17.2만명 감소하여 전월대비 감소폭이 확대…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금융부(admin) 2020-05-14 16:35:00
  • 고등교육의 재정 위기 새창

    이 논문은 서강대학교 개교 60주년(2020년)을 기념하여 경제학과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주관으로 출판한 ‘도전에 직면한 한국경제’ (학현사)의 제5장에 수록된 글임을 밝혀둔다. <편집자> “초등학교보다 못한 대학교육으로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교육부, 소득 3만 달러의 대한민국에서 소득 1만 달러 수준 대학교육 강요최소한 매년 경제성장률에 맞먹는 고등교육 재정의 순증이 있어야<들어가며>4차 산업혁명의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면서 대학 사회는 갖가지 도전가운데 놓여 있다. 디지털 혁명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김영철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admin) 2020-05-09 1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