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4,670 (444 페이지)
  • 대법원의 2대적폐

    • 조대환
    • 법무법인 대오 고문변호사
    • 2014년 12월 30일
    1. 7년 동안이나 1심 재판하고 있는 태안기름 유출사고 피해배상 사건“지난 2007년 12월 태안에서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한 지 6년을 맞으면서 피해민 가운데 고령으로 사망하는 사…
  • 법무행정의 2대 적폐

    • 조대환
    • 법무법인 대오 고문변호사
    • 2014년 12월 30일
    1. 검사를 수사업무에서 대량 배제하여 신속히 수사받을 권리를 방해하는 적폐가. 신속히 수사받을 권리를 무참히 짓밟는 수사현실모든 국민은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가지며(헌법 제…
  • 올바른 노동시장 규제개혁--일부 대기업 노조의 과도한 정규직 보호의 완화부터 시작해야

    • 유경준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인력개발학과 교수
    • 2014년 12월 28일
    요즘 언론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정부 정책은 단연 규제개혁일 것이다. 규제개혁은 대통령의 신년기자회견에서 성장촉진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특히 강조되었다. 물론 안전과 환경 등 세심…
  • 갑오년을 보내며 ‘갑오혁명’의 기억을 더듬다 - -갑오혁명 120주년을 기린다

    • 최양부
    • 전 대통령 농림해양수석비서관
    • 2014년 12월 26일
    갑오년이 다가도록 갑오혁명을 제대로 기억조차 하지 못하는 우리는 분명 비정상이다.갑오혁명, 잊혀진 기억 갑오년이 저물어가고 있다. 갑오년을 보내며 올해가 동학농민혁명 120주년이 …
  • 조선 중기까지 ‘장가들기’가 대세

    • 정현주
    • (사) 역사ㆍ여성ㆍ미래 상임대표
    • 2014년 12월 26일
    오늘날에도 ‘결혼(혼인)한다’는 말 대신 ‘장가간다’, ‘시집간다’라는 말을 사용한다. ‘장가간다’는 장인 집으로 간다는 말에서 유래했고 ‘시집간다’는 시집(시가)으로 간다는 뜻이…
  • 1%대 금리 시대 도래

    • 김영익
    •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교수
    • 2014년 12월 25일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1%대 금리 시대가 올 것인지에 대해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인구 변화 등 구조적인 요인과 몇 가지 거시경제 여건을 고려해보면 조만간 금리 1%대 시대가 올 가…
  • 통영함을 바다로 내보내자

    • 김태우
    • 前 통일연구원 원장, 前 국방선진화추진위원
    • 2014년 12월 25일
    1,600억 원을 들여 3,500톤급의 최신 구조함으로 건조된 통영함은 지난 4월 세월호 참사 때에 현장에 투입되지도 않았고, 지금도 해군에 인도되지 못한 상태로 조선소에 머물고 …
  • [특별기고] 이 시대 성탄의 의미

    • 차동엽
    •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미래사목연구소 소장
    • 2014년 12월 24일
    청탁의 취지에 걸 맞는 글의 성격을 먼저 가늠해 본다. ‘의미’라는 말 자체가 적어도 객관적 내지 보편적 논거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얘기인 셈이니. 충족 요건이 헐렁하지는 않은 듯싶…
  • 추락하는 교수들에게는 날개가 없다

    • 이덕환
    • 서강대학교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 2014년 12월 23일
    이 땅의교수들이 나락으로 추락하고 있다. 온갖 비리와 비행을 저지르는 것도 모자라서 이제는 수능 출제에서도 문제를 일으키는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래서 작년부터 연이어 터져 나…
  • [IFS 특별기획] 건설안전 무엇이 문제인가?(하)- 제도 개선과 생명 중시 윤리성의 회복

    • 김지덕
    • 대한건축사협회 국제위원회 고문
    • 2014년 12월 23일
    설 다음은 시설물의 기초구조가 침하하거나 기초구조 공사를 부실하게 해서 건설사고가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말뚝기초의 지지력 설계를 잘 못하거나 말뚝 공사를 하면서 설계된 지지층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