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美 연준, 2차례 연속 금리 인상 유보, '인상 종결' 관측 확산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11월02일 14시20분
  • 최종수정 2023년11월03일 02시27분

작성자

메타정보

  • 1

본문

미 연준(FRB)이 지난 1일, 이틀 간에 걸친 공개시장위원회(FOMC; 금융정책결정회의)를 마치고 정책금리(Fed Fund 금리 유도 목표 범위, 현재 5.25~5.50%)를 지난 9월 회의에 이어 2 차례 연속 유보할 것을 결의했다. 2022년 3월에 금리 인상을 개시한 이후 처음으로 2 차례 연속 정책금리 인상을 유보한 것이다. 그러나, 지난 7월 마지막으로 인상했던 현 정책금리는 22년만의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다. 연준의 금리 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것을 감안하면, 연준 내부에서도 이제 금리 인상을 종결해야 한다는 견해가 부상하는 상황이다. 

 

지난 7월에 금리를 인상한 이후, 국채시장을 중심으로 장기금리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것도 이번에 연준이 금리 인상을 유보하는 이유로 작용한 것이다.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 및 개인 주택 론 금리가 상승하면서 구태여 정책금리를 인상하지 않아도 금융 환경은 더욱 긴축됐던 것이다. 따라서, 연준이 경기를 과도하게 냉각시키지 않으면서 인플레를 억제할 수 있는 ‘적정’ 수준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두고 향후 경제 상황을 관망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으로 보인다. 연준은, 이날 금리 인상 유보 결정은 투표권을 가진 위원들 전원 일치로 결정됐다고 밝혔다.      

 

■ WSJ “연준, 금리 인상 유보 결정에도 향후 인상 가능성 열어 둬”  

 

WSJ은 이번 연준 FOMC가 정책금리 인상을 유보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연준이 현 미국 경제가 예상 외로 강력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한편, 최근 금융시장에서 장기금리가 급격히 상승해서 경제 주체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상승한 것을 감안해서 이번에는 금리 인상을 유보했으나, 향후 인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신중함을 보인 것이라고 보도했다. WSJ은, 이와 관련해서, 지난 9월 FOMC 회의에서 대다수 위원들이 금년 안에 한 차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시사했던 사실을 지적했다. 그럼에도, 최근 들어 연준 관리들은 잇따라, 현 경제 상황이 돌연 인상하는 방향으로 강제하지 않는 한, 구태여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해 왔다고 전했다. 

 

그러나,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연준 결정으로 연준이 금년 내에 금리를 더 이상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내비친 것이라는 관측도 등장하고 있다 (Mark Cabana, BOA 수석 전략가). 마찬가지로, KPMG사 스웡크(Diane Swonk)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연준이 정말로 금년에 금리를 인상하길 원한다면 파월 의장이 더 많은 리스크 요인들을 적시해야 했을 것” 이라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준이 ‘매파’ 자세를 보여주는 게 득책이라는 선택을 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WSJ은 결국, 지금 가장 커다란 의문은 과연 정책위원들이 현 경제 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느냐, 하는 점과 이런 요인들이 위원들로 하여금 정책을 어떤 방향으로 결정하게 할 것인가에 모아진다고 전했다. 지난 7월 회의에서는 정책 결정 관련 요인들로; 첫째; 경제 활동이 ‘둔화’ 예상과 달리 활발해진 점, 둘째; 인플레가 계속 냉각된 점, 셋째; 금융 상황이 계속 긴축 방향으로 움직인 것, 등을 들었다. 이를 감안하면, 다음 FOMC에서 이런 요인들을 어떻게 판단할 지가 주목된다. 

 

■ 파월 의장 “향후 금리 인상은 리스크 요인을 검토해서 결정할 것”  

 

파월(Jerome Powell) FRB 의장은 이날 FOMC 회의를 마치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위원회는 향후 (미국 경제에 나타날) 불투명성 및 리스크 요인들을 고려해서 추가 금리 인상 필요성을 신중하게 검토할 것” 이라며, 향후 시간을 두고 긴축 정책을 얼마나 유지할 필요가 있을지, 또는 적정 금리 수준을 판단할 자세를 시사했다. 

 

경제 활동 강력한 회복; 최근 경제 지표들을 보면 미국 경제는 예상 이상으로 강력하게 확대됐다. 견고한 개인소비가 지탱해 주고 있어 2023년 Q3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연율 환산 4.9%라는 양호한 실적으로 보였다고 강조했다. 한편, 주택 부문 경제 활동은 주택 모기지 금리 상승 영향으로 횡보를 보이고 있다며, 최근 금융 시장에서 장기금리가 상승해서 설비투자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을 강조했다.

 

노동시장 여전히 긴장; 노동시장은 여전히 긴장된 상황이고, 고용도 강력하게 늘고 있는 가운데, 노동자 공급도 함께 증가하는 상황이다. 2022년 후반에 비해 노동참여율도 상승했다. 취업자 수는 월 평균 26만6,000명씩 증가해 강력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이에 따라 실업률은 3.8%로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단, 최근 들어 임금 상승이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고, 구인수도 감소 경향을 보인다. 

 

인플레 진정은 아직 멀어; 그러나, 인플레율은 여전히 장기 목표인 2%를 상회하고 있다. 9월 개인소비지출지수(PCE)가 전년동월 대비 3.4% 상승했고, 식품 및 에너지 항목을 제외한 ‘근원 PCE’도 동 3.7% 상승했다. 인플레율이 2022년 중반부터 2023년 여름에 걸쳐 둔화했으나, 아직 지속가능한 페이스로 목표에 근접하고 있다는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가계, 기업,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서는 장기 인플레 기대는 비교적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금리 인상 효과가 시차를 두고 누적적으로 나타나는 점을 고려해 향후 금리를 결정할 것이다.

 

금리 인상 국면 아직 종결되지 않아; 다음 12월 FOMC에서는 더욱 광범한 많은 정보를 가지고 금리 정책을 논의하게 될 것이므로, 이번까지 2 차례 인상을 유보했다고 해서 다음에도 금리 인상을 유보할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단, 다음 금리 인상이 어려울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장기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것은 금융시장을 긴축하는 효과가 있다. 금리 수준 외에도 환율, 주가 등 금융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고려할 요인들이 많이 있다. 현 시점에서 금리 ‘인하’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 FOMC 성명서 “금융 환경 긴축으로 경제에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 

 

1일 회의를 마치고 발표된 FOMC의 성명서에서는 ‘최근 경제 지표들은 Q3 미국 경제 활동이 강력한 페이스로 확대된 것’을 시사했다. 특히, 고용 증가가 연초부터 완만해지고 있기는 해도, 여전히 강력한 회복력을 보이고 있고, 실업률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인플레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고 진단했다.  

 

또한, 미국의 은행 시스템은 건전하고 회복력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계 및 기업들의 금융 환경은 핍박해지고 있어 경제 활동 및 고용, 인플레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따라서, 이런 시장 요인들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투명성이 남아 있는 것으로 지적했다. 이에 따라, 연준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인플레 동향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아울러, 연준이 인플레율을, 목표로 삼고 있는 ‘2% 전후’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어느 정도의 추가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인지를 책정하기 위해 종전의 누적된 긴축 정책의 경제 활동 및 인플레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차, 경제 및 금융 정세를 감안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전에 발표한 일정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국채 등 보유 유가증권 잔액 감축을 통한 소위 ‘양적 긴축’도 계속할 의향을 밝혔다. 

 

향후, 금융 정책의 적절한 스탠스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경제 지표들이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연준의 정책 목표 달성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들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금융 정책 스탠스를 적의 조정할 용의가 있음도 강조했다. 이런 정책 조정 과정에는 향후 노동시장 상황, 인플레 동향 및 인플레이션 기대, 금융 및 국제 정세에 관한 광범한 정보들을 고려할 것임도 시사했다.   


■ “시장에 ‘금리 인상 종결’ 인식 확산, 과도한 금융 긴축 우려 후퇴”  

 

이번 연준 FOMC가 2 차례 연속 금리 인상을 유보하기로 결정한 것을 두고 시장에서는 일단 ‘연준의 금리 인상이 종결됐다’는 판단 하에 주가 상승, 금리 하락으로 반응했다.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도중부터 뉴욕 증시의 3대 지표가 일제히 상승하기 시작했고, 이와 병행해서 채권시장의 금리도 하락(채권 가격은 상승)​하기 시작했다. 특히, 금융 정책 변동의 영향을 예민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지는 2년 물 국채 수익률은 전일 대비 0.12% 정도 하락한 4.95%로 하락했다. 

 

금융 시장이 이렇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은 3개월마다 공표하는 연준 정책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에 대한 예상을 나타내는 점도표(Dot Plot)에 대한 파월 의장의 발언에 근거한 것이다 (Nikkei). 파월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 도중에 ‘점도표의 유효성은 3개월 간에 아마 하락할 것’ 이라고 발언한 것이다. 지난 9월 점도표에서는 연내 1회 추가 인상을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번 유보 결정을 근거로 시장 참가자들 간에 연내에 추가 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으로 기울고 있는 것이다. 한편, 선물시장 시황에 근거해서 연준의 금융 정책을 예측하는 ‘Fed Watch’에서는 12월 FOMC가 금리를 인상할 확률이 20%로 나타나, 전일 대비 9P 하락했다.     

 

■ 블룸버그 “파월 의장이 금리 인상이 끝났다는 힌트를 시사한 것”  

 

블룸버그 통신은 파월 의장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FRB)이 40년만에 가장 강력한 긴축 정책 사이클을 유지해 온 끝에 지난 번에 이어 2 차례 연속 금리 인상 유보를 결정한 것을 배경으로, 이제 금리 인상 국면이 종결된 것임을 시사하는 힌트를 제공한 것이라고 전했다. 파월 의장은 기자들에게 “이제 우리에게 남은 문제는 금리를 더 이상 올려야 하느냐 하는 문제다” 라고 언급했다. 파월 의장은 대단히 완곡한 표현으로 ‘연준이 더 이상 (금리를 조정) 해야 한다면, 낮추는 것이 더 좋은 인식이라고 알려주고 있다(Slowing down is giving us, I think, a better sense of how much more we need to do, if we need to do more)’ 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날 파월 의장의 ‘비둘기파’ 발언이 시장에 긍정적 메시지를 보낸 영향으로 주가는 상승했고, 10년 물 장기금리는 2 주 만에 처음으로 4.7% 아래로 하락했다고 전했다. 동시에, 선물시장 가격에 반영되는 금리 예상은 내년 1월까지 금리를 인상할 확률을 25% 정도로 반영하고 있는 것이고, 이는 전일의 동 40%에 대비해서 시장 참가자들의 금리 ‘인상’ 기대가 급격히 하락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들리(Bill Dudley) 전 FRB of NY 총재는 ‘연준이 근본적으로 시사하는 것은, 앞으로 연준이 별다른 일을 할 게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 이라는 인식을 보였다. 그는 파월 의장의 이날 발언은 연준이 이제 충분히 일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평했다. Bloomberg Economics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이날 파월 의장의 발언 및 FOMC 성명문을 보면, 대체로 비둘기파 자세다. 그 뿐 아니라, 매파 위원들도 9월 이후 나타난 놀라운 경제 지표들을 긍정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여서, FOMC가 앞으로 금리 인상 ‘유보(pause)’ 자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고 밝혔다. 

 

한 시장 전문가(워싱턴 소재 정책 분석 전문 LH Meyer사 애널리스트 Derek Tang)는 ‘(연준은) 경기 침체가 없는 소프트 랜딩의 서막(序幕)을 보고 있고, 동시에, 기꺼이 리스크를 부담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 참가자들 간에는 향후 나타날 수 있는 원치 않는 상황에 대한 리스크를 부담한다고 해도 그 정도가 종전보다는 훨씬 낮아졌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임도 분명하다 (Bloomberg). 향후 미국 경제의 회복 경로에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인 것이다.  

<ifsPOST>​ 

1
  • 기사입력 2023년11월02일 14시20분
  • 최종수정 2023년11월03일 02시2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